채굴자의 작업증명 시간은 왜 10분인가?? 를 정리할랬는데, 오픈북으로 적어보는데 못적겠다. 

결론: 프로그램을 돌려보다 보니,  이중지불과 동시정답자가 생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절하게 동작하는 시간이 그냥 10분이었다. 

- 현재 TCP/IP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랜잭션이 다른 노드들에 브로드캐스팅 되는데 2분정도 걸린다.

- 사토시는 18개월 동안 코딩을 하여 프로그램을 실제로 돌린다음, 이론을 커뮤니티 설명하기 시작했다. 

--------------------------------------------------------------------------

사토시의서(필샴페인)

제2장 비트코인의 작동원리, 채굴자의 작업증명

각 채굴자의 컴퓨터에 있는 소프트웨어에서 동작하는 비트코인 프로토콜은 첫 번째 채굴자가 답을 얻기까지 10분 정도 걸리도록 문제 난이도를 조절합니다. 목표는 이전 10분 동안 전송된 최신 트랜잭션들을 포함한 새로운 블록을 정기적으로 블록체인에 업데이트하는 것입니다. 이 값은 다소 임의적인데, 나중에 살펴보겠지만 사토시는 이 주제에 대해 일부 토론을 진행 했습니다

...

제8장 트랜잭션

...

채굴자들이 트랜잭션을 모아 블록으로 만들 때까지 트랜잭션을 보유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그 다음에는 특정 블록체인에서 이중지불이 발생하지 않는 이유와 블록 문제를 동시에 푼 두 채굴자가 나오는 상황을 블록체인이 어떻게 방지하는지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블록체인에서 정식으로 확인될 때까지 수신자가 트랜잭션을 한 시간 정도 갖고 있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다뤘습니다. 사토시는 트랜잭션이 승인을 받아 영구적으로 블록체인의 일부가 되기까지 걸리는 적절한 시간으로 6블록(블록당 10분씩 여섯 번이므로 1시간)을 이야기했습니다.

...

제16장 타원곡선 암호화, 서비스 거부 공격, 컴펌

...

경주는 당신의 트랜잭션을 네트워크에 먼저 전파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6 자유도(아무런 제약 없이 자유롭게 퍼져나간다는 의미로 사용) 정도 된다고 생각해보세요. 트랜잭션은 네트워크에서 기하급수적으로 퍼져나갑니다. 선발 주자가 전체 네트워크를 장악하기 전에 후발 주자가 많은 수의 노드를 확보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트랜잭션을 널리 퍼뜨리는데 2분 정도밖에 안 걸립니다. 

 

 

+ Recent posts